서린기술

Noise, Vibration, and Data Room

소음진동 및 자료실

배출허용기준 중 진동측정방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회

본문

d9394ce661540370cafac1dff987797a_1740037073_6316.jpg
 


1. 개요

1.1 목적

-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진동 측정의 정확성과 통일성 유지


1.2 적용범위

- 소음·진동관리법에 규정된 배출허용기준 중 진동 측정 방법 적용


2. 용어정의

- "내용 없음"


3. 분석기기 및 기구

3.1 사용 진동레벨계

-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른 진동레벨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 사용


3.2 일반사항

- 진동레벨계와 진동레벨 기록기를 연결하여 측정·기록하는 것을 원칙

- 기기 교정 필수 (매회 점검 및 교정 수행)

- 과부하 출력이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 주의

- 진동픽업 연결선은 지표면에 일직선으로 설치하여 잡음 방지


3.3 감각보정회로

- 별도 규정이 없는 한 V 특성(수직)으로 고정하여 측정


4. 시약 및 표준용액

- "내용 없음"


5. 시료채취 및 관리

5.1 측정점 선정

- 공장 부지경계선 중 피해 우려 지역 및 진동레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 선정

- 부지경계가 불명확하거나 피해 예상자의 경계선에서 진동레벨이 더 클 경우, 피해 예상자의 부지경계선에서 측정


5.2 측정조건

5.2.1 일반사항

- 진동픽업 설치장소는 옥외 지표면이 원칙

- 반사, 회절현상이 예상되는 곳 피할 것

- 진동픽업 설치장소는 단단하고 평평한 수평면이어야 함

- 온도, 자기, 전기 등의 외부 영향이 적은 곳에서 측정


5.2.2 측정사항

- 대상 배출시설을 최대출력으로 가동한 상태에서 측정진동레벨 측정

- 배경진동레벨은 배출시설 가동 중지 상태에서 측정


5.3 측정시간 및 측정지점수

- 피해 예상 지역에서 2개 이상의 지점을 측정

- 가장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결정


6. 정도보증/정도관리 (QA/QC)

- "내용 없음"


7. 분석절차

7.1 측정자료 분석

- 측정자료를 분석하고,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대상진동레벨 산출


7.2 배경진동 보정

- 측정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10dB 이상 크면 보정 없이 사용

- 3~9.9dB 차이일 경우 표에 따른 보정치 적용

- 3dB 미만일 경우 재측정 필요


8. 결과보고

8.1 평가

- 측정한 대상진동레벨을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2의 공장진동 배출허용기준과 비교

- 지역별 기준 적용 시 공장이 위치한 지역 기준을 우선 적용


8.2 측정자료 기록

- 공장진동 측정자료 평가표 [서식 1]에 기록

- 측정값에 대한 증빙자료 첨부


9. 참고자료

- ISO 2631-1 (1997): 인간의 전신 진동 노출 평가

- ISO 2631-2 (2003): 건물 내 진동 평가


10. 부록

10.1 L10 진동레벨 계산방법

- 5초 간격 50회 판독 후 누적도곡선을 작성하여 90% 위치의 진동레벨을 L10값으로 결정


"본 문서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ES 03401.1a (2015)'을 바탕으로 정리된 내용입니다."




발파 소음 진동 계측 시험발파 상시계측 사전조사 무선자동화계측기임대 발파계측기임대 계측기임대 소음측정 진동측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